## 문제 있는 돼지감자 - 정말 효과가 있을까요 ?
진료 할때 마지막으로 어르신들이 물어보는 질문이 있습니다. 이 질문에 무성의한 답을 하면 어르신들 실망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시간도 부족하고 이상한것도 많이 물어보는데요. 그 중 하나가 돼지감자에 대한 질문이 많습니다. 하지만 굳이 제가 이글 올리지 않아도 매스컴에 많이 나오고 있어 대부분 큰 효과가 있는것으로 알고 착가하고 계십니다.
진료때는 정확히 말씀드리기 어려운 내용이 많아 정리 해서 알려 드리겠습니다.
결론부터 말하면 돼지감자는 당뇨병의 기능식품에 포함 안된다고 말씀드릴수 있습니다. 즉 효과가 다소 떨어진다고 말씀드릴수 있습니다.
2013 diabetic care에 나온 내용으로 돼지 감자의 이눌린은 이론적으로는 식후 혈당을 떨어뜨릴 수도 있지 않을까 하지만 아직 장기 Data연구들에서 효과가 있었다는 보고가 없습니다.

## 잘못 지어진 이름 : 돼지감자, 뚱딴지, 예루살렘 아티초크 (Jerusalem Artichoke)
이름은 예루살렘 아티초크지만, 예루살렘 아티초크는 아티초크가 아닙니다. 웃긴것은 원산지도 예루살렘은커녕 예루살렘에서 가깝지도 않은 아메리카 대륙인데 왜 ? 예루살렘 아티초크(Helianthus tuberosus)일까요. 감자가 원래 악마의 과일이라고 폄훼를 받았었고 이로인하여 여러 이상한 이름을 받았는지 모릅니다. 하지만 이것은 감자도 아니고 국화과 해바라기속에 속하며, 그 때문에 선초크(sunchoke)라는 별명으로 불리기도 합니다. 혹자는 이탈리아어로 해바라기를 뜻하는 ‘지라솔레(girasole)’를 잘못 발음한 것이 ‘예루살렘’으로 와전되었으며, 그 향미가 구경 또는 진짜 아티초크와 비슷해서 그러한 이름이 붙었을 것이라고 한다고 합니다. 감자도 아닌게 감자의 이름을 받은것도 재미있습니다.
가드너들 사이에서 정원에 심지 마라고 하는 식물인데 가을에서 겨울로 넘어가면 쭉쭉 뻗은 줄기가 보기 싫고 마구 번지므로 대부분 경사지나 버려둔 땅에 심게 되는 식물입니다. 하지만 거친환경에도 아주 잘자라서 풀들 보기 싫은 곳에 심어주면 예쁜 꽃을 피우고 중국에서 사막화를 막기위해서 심고있는 착한 식물입니다. 앞서 언급했듯이 북아메리카가 원산지인 국화과의 귀화식물입니다. ( 가을 가서 1.5-2 미터 되는 갈색 가지를 뽑으면 잘 뽑혀서 흙 털고 씻어보면 정말 뿌듯합니다. )


## 돼지 감자와 이눌린
돼지감자가 당뇨병에 좋다고 알려지게 된 원인은 바로 이눌린 때문입니다. 이눌린은 다양한 종류의 식물로부
터 생산되는 다당류 중 하나로, 보통의 식물이 탄수화물을 녹말의 형태로 저장하는 것과는 달리, 돼지감자
는 탄수화물의 대부분을 이눌린이라는 과당중합체 물질로 저장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이눌린은 돼지감자원 중량의 14~19%를 차지할 정도로 그 비율이 높으며, 이는 돼지감자 건조 중량(dry weight)의 약 75%에 해당한한다고 합니다. 돼지감자의 이눌린 함량은 이눌린의 형태로 양분을 저장하는 다른 식물들에 비해 비교적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이눌린은 난소화성 식이섬유로, 인체 내에서 흡수되지 않아 칼로리가 낮으며 과당의 중합체이기 때문에 단맛을 내는 감미료로 쓰일 수 있는 특징이 있다. 달리아(dahlia), 엉겅퀴, 치커리(chicory), 돼지감자(Jerusalem artichoke) 등의 덩이줄기 식물들은 탄수화물을이눌린의형태로뿌리에저장하는것으로 알려져있습니다.
이 중 돼지감자는 식용으로 쓰이는 비율이 낮고 경제적 측면에서도 저렴한 가격으로 구입이 가능하여 이눌린을 사료로도 중국에서는 많이 키우고 있습니다.
## 이눌린의 기능
이눌린은 알려진것처럼 혈당을 떨어뜨리는 성분이 아닙니다. 마치 인슐린과 이름이 비슷하여 마치 당뇨에 효과가 있다고 생각하는 분들이 많은것 같지만 실제 당뇨병에 효과가 있었다는 논문은 없습니다. 다만 이론상으로 효과가 있을것이다고 추정할 뿐입니다.
전분을 분해하는 ptyalin이나 amylase와 같은 인체 내의 효소로는 분해되지 않고 소화관을 통과 하므로 포만감을 주고 혈당을 급격히 올리는 것을 지연시키는 작용이 있습니다.
또한 장내 미생물에 의해 발효되어 에너지를 내므로 전분, 설탕과 같은 당질에 비해 25~35% 정도의 낮은 칼로리를 가지고 있으면서 단맛을 내므로 식품 가공업계에서 주목받고 있는 감미원으로 설탕 대체 감미료로 자주 사용되고 있습니다.

테이블은 고구마 감자 돼지감자 순입니다. 영양소및 칼로리는 감자와 비슷합니다. 그러나 섬유 자체가 높고 감자와 달리 흡수가 천천히 됩니다. 조심해야 하는게 돼지 감자는 칼륨이 고구마보다 1.5배 높아 신장이 나빠진 오래된 당뇨환자에서는 오히려 않 좋은 역할을 하니 주의가 필요합니다.
또한 이눌린은 수용성 식이섬유소로서 배변활동을 원활히 하고, 담즙산의 배설을 도와 혈액 내 콜레스테롤 수치를 낮추는데 도움을 준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이눌린은 수용성 식이섬유로써 기타 음식물과 함께 섭취 시 음식물이 위와 장을 통과하는 시간을 지연시켜 장내의 영양소 흡수 속도를 조절하며 간에서 지방생성효소
의 활성을 낮춰줍니다. 결과적으로 간의 지질 생성 물질과 VLDL(very low-density lipoprotein) 분비 능력을 감소시켜 혈중 지방 성분과 콜레스테롤의 증가를 방지할 수 있어 고혈압이나 동맥경화예방에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
.
한편 이눌린의 섭취는 칼슘 및 마그네슘, 철분과 같은 무기질의 흡수를 향상시킨다고 보고되었습니다. 소장에서 이눌린이 흡수되지 않아서 대장에서 수용성 이눌린을 흡수하기 위해 물의 흡수가 증가하게 되고 이
때 수용성인 칼슘의 흡수 역시 증가하게 되는 것입니다. 따라서 이눌린은 골밀도를 증가시키는 역할을 하는 칼슘의 흡수를 용이하게 해주는 역활을 합니다.
이눌린과 같은 과당중합체는 대장 내 미생물의 영양급원으로 이용되어 장내 유효균의 생성을 증가시키므로
오랫동안 건강에 좋은 식품으로 여겨져 왔습니다.

이눌린은 동물의 위액과 소화효소에 의하여 분해되지 않는데 이 중 80% 이상이 대장에 도달하여 장내 미생물 의 성장기질로 이용된다는 연구결과가 있습니다. 이 때 이눌린은 장내미생물인 박테리아의 생장과 장내 활동을 선택적으로 촉진 시켜주며 결장 내의 균총을 유지시 켜주는 프리바이오틱스(prebiotics)의 역할을 수행한다. 이를 영양원으로삼는프로바이오틱스(probiotics) 균주 또는 장내미생물을 함께 신바이오틱스(synbiotics)로 볼 수 있습니다.
# 돼지감자의 당뇨병에서의 활용
당뇨병 환자에게 돼지감자는 혈당조절을 위한 약이 아니며, 건강보조 식품도 될 수 없으므로 식사 외에 추가로 섭취할 필요는 없습니다.
다시 말해서 돼지 감자차는 먹을 필요가 없고 효과가 없습니다. 그냥 감자를 물에 삶아서 물마시는 것과 이론적 차이가 없고 추가적인 칼로리 섭취만 되니까요. (물론 소소한 부가적인 있점은 있겠지만요)
그리고 돼지 감자를 먹을때는 다른 곡류군 과 대체하여야 합니다. 당연히 칼로리가 있으니까요 . 또한 조리 시 첨가되는 식용유와 우유 등의 추가 열량은 하루 총 섭취열량에서 조정해야 하는게 당연하겠죠 . 그렇게 할 경우 당뇨병 환자도 다양한 조리법으로 돼지감자의 다양한 맛을 즐길 수 있습니다 .
샐러드 // 돼지감자 튀김 // 끓인 돼지감자는 퓌레로 사용 // 팬케이크의 소스 로 사용
돼지감자는 감자와 잘 어우러져서 스프나 스튜에 사용
구운 돼지감자는 칠면조나 양 요리에 사용
삶아 으깨어 우유와 함께 끓여 죽을 만들 수 있습니다.
돼지감자 어린 순은 나물로도 먹음


#이눌린의 문제점
이 눌 린 은 수 용 성 섬 유 소 이 면 서 F O D M A P (Fermentable, Oligo-, Di-, Mono-saccharides And Polyols)의 일종입니다. 외국에서 도입된 과민성 장질환을 유발하는 FODMAP(포드맵식단) 이란 장에서 잘 흡수되지 않고 남아 발효되는 당의 종류를 뜻합니다. 프로바이오틱스로 작용하나 과다 섭취할 경우 장내 메탄 생성균이 과도하게 자랄 수 있습니다. 특히 장이 민감하거나 이눌린에 익숙하지 않은 사람이 많은 양의 이눌린을 섭취할 경우 가스가 생기고 복통을 유발할 수 있으므로 처음에는 소량으로 적당량 섭취해야 합니다.
1. Nutrition therapy recommendations for the management of adults with diabetes .Diabetic care 2013 Nov;36(11):3821-42.
2. J Korean Diabetes 2014;15:227-231
3. 죽기 전에 꼭 먹어야 할 세계 음식 재료 1001
4. Extraction and analysis of inulin from jerusalem artichoke. Food Sci Ind 2012;45:50-8.
5. Introducing inulin-type fructans. Br J Nutr 2005;93
'의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당뇨병의 식이조절 III - 밥을 어떻게 해야 할까요. 1 식사량 칼로리 (0) | 2023.06.22 |
---|---|
당뇨병과 기능식품 - 2. 여주는 효과가 있을까요 ? (0) | 2023.06.20 |
당뇨병 식이조절 I-I 음료수 실제 칼로리 알아봅시다. (1) | 2023.06.10 |
당뇨병 식이조절 II. 과일은 어떻게 하나요? 먹고 싶어요. (1) | 2023.06.02 |
당뇨병 식이조절 I. 음료수는 어떻게 할까요? (2) | 2023.06.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