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의학_more specialized

(10)
고지혈증 치료시 만날수 있는 상황들 - I. Very low LDL cholesterol -> 고지혈증 약이 백내장을 일으키나요 ? 최근  고지혈증의 치료기준은  단순한 수치로의 조절이 아닌 환자의 위험도에 따라  치료 방향이 좀더 세분화 되고 강화 되고 있습니다.  과거 Fact sheet 자료에서 보면  LDL 목표에 도달 하지 못하고 있는 데 오히려 강화 시켰으니  안봐도  조절 비율을 떨어지겠네요 . 아래의 예를 들면  당뇨환자가 10년 이상되면 고지혈증 치료 목표가 LDL 70 이하로 조절하게 강화 되었고 경동맥 초음파에서 atheroma 관찰되거나  당뇨환자에서 TOD(표적장기손상및 심혈관 이상 - 당뇨병성 신병증 망막병증 심비대)이 있어도 역시 100이 아닌 70 이하로  낮게 조절해야 하니까요 .  실제 약을 써보면 70이하로 조절하기가 그다지 쉽지는 않습니다.   용량을 늘려야 하고 용량을 늘릴때 부작용의 위험도도 늘..
DKD (Diabetic kidney disease 당뇨콩팥병)과 케렌디아 Finerenone 사용실제와 보험기준 당뇨병의 합병증중 신장에 대한 합병증을 가지고 있는분이 거의 50%에 달하고 있어 이번 케렌디아에 기대는 하는게 매우 큰게 사실입니다. 실제로 혈압 조절및 당뇨조절과 고지혈증 약 이외에 직접적으로 치료할수있는 약이 없어서 매우 답답했으나 처음으로 약물이 나와서 매우 기대가 됩니다. 우리나라에서 당뇨병은 말기콩팥병 원인 질환 중( 47%) 절반 정도를 차지하는 가장 흔한 원인 질환으로 바뀌었고 당뇨병에 의한 신장합병증으로 CRF( 말기콩팥병 환자) 환자 발생의 원인이 되고 있습니다. 당뇨환자의 질관리 평가 항목중에 중요한 항목이 urine microalbumin 검사를 얼마나 하는가 평가 항목에 포함되어 있는것은 바람직하다고 볼수 있습니다. 신장합병증의 시작을 나타내고 diabetic retinopathy..
기다렸던 당뇨병성 신병증 치료제 케렌디아 finerenone ( 3세대 MRA) 치료제가 드디어 시판되었습니다. 자료가 매우길고 방대하니 참조 바랍니다. 드디어 케린디아가 최근에 급여가 풀렸습니다. 뉴스는 많이 나오고 있지 않지만 당뇨병성 신부전을 직접적으로 치료 해주는 약이 처음으로 나와 정말 주목이 됩니다. 약에 대한 이야기를 하기전에 꼭 하고 싶은이야기가 있습니다. 그런데 아쉬운 것은 대부분의 해외 거대 기업들은 한국에 신약 들어가는 것을 엄청 싫어한다고 알려진게 공공연한 비밀입니다. 이번에 이 약물도 우리나라 들어올 때 바이엘 내부에서 엄청 논란이 있었다고 하네요( 워낙 약값을 후려치기 때문이라고 합니다.) 이것으로 인해 다른 나라에서 약가 정할때 특정국가의 가격이 저렴해져 버리면 우리나라는 왜이리 비싸냐고 항의가 들어올수 있기 때문이라는게 아닐까 합니다. MSD도 철수 하고 노바티스도 철수이야기가 나오고 있고 바이엘은 이번약을 종근당을 통해서 배..
닥터 하우스 보다가 나온 메탄올 독성에 대해서 (진단 치료) 닥터 하우스 시즌 2에서 원인을 알수없는 것을 먹고 와서 처음에는 헤로인이 원인으로 생각합니다. 정말 생각하지 못하면 원인을 알아 낼 수가 없죠 원인을 찿기 위해 정리하고 부하를 시켜 근무지를 뒤지다가 힌트를 얻은 하우스는 결국을 원인이 복사용잉크라는 것을 알아내고 환자 옆에 앉아서 럼주를 같이 먹죠 (이것에 메탄올이 들어있다는 것을 알아네고 치료를 시작하는 셈이죠) 실제 치료는 이렇게 하지 않지 않겠지만 의사인 저도 참드라마틱 하다고 느끼는 장면이였습니다. 메탄올 자체가 독성이 아니라 간에서 대사를 일으켜서 formaldehyde 와 formate가 만들어질때 까지 걸리는 시간이 6-30시간 이 걸리는게 진단을 매우 어렵게 합니다. 천천히 문제가 일어나고 이 두 물질은 세포로 들어가 미토콘드리아의 cy..
내시경 및 수술 환자에서 NOAC 사용 환자 대처( 위 대장내시경 검사시) III - 소화기의사에서 대처 방안 심화 내용 대장내시경의 경우 대학병원으로 의뢰된 경우가 아닌 이상 large polyp이 발견되어 EMR의 경우는 위에서도 보듯이 매우 높은 위험에 해당되니 주의가 필요한것을 볼수 있습니다. (항시 반복적으로 대장 내시경 하는 입장에서는 다소 둔감해지기 때문에 더욱 주의가 필요할수 있습니다.) 좌측 table이 가장 최근에 분류 한것인데 일반적인 내시경의 경우 조직검사는 위험도가 낮은 것을 볼수 있습니다. 그러나 1-2차 병원에서 내시경 할때 조직검사만 하는게 아니라 대부분 시술까지 진행하기때문에 미리 대비 해야 하므로 high에 준해서 환자를 준비 시켜야 합니다. 참고로 Cold snare polypectomy는 저위험군에 해당되니 참조 할수 있습니다. 그렇지만 대장 내시경 하는 입장에서 어느것을 할지 모르는 상..
내시경 및 수술 환자에서 NOAC 사용 환자 대처(수술 협진환자 나 내시경 예약시) II - 출혈 위험 이 높은 경우 심한 출혈의 발생 위험이 높은 침습적 시술을 할때는 수술전 48시간 혹은 그이상 NOAC을 중지 해야 한다. 긴시간 NOAC을 중지하는 경우 혈전색전증의 발새위험과 출혈 위험서을 고려해야함을 꼭 환자분께 주지 해야만합니다. 위험한 시술이나 수술은 다음과 같습니다. 실제 대장내시경도 이에 해당되므로 2일간은 중지 하시도록 권유 해야 합니다. 프라닥사의 경우 신기능에 따라 3-4일까지도 중지 해야 합니다. NOAC 농도를 체크 하는 방법도 있으나 아직은 안전한 농도에 대한 근거가 부족하며 어느정도의 농도까지 기다려야하는지 정보가 아직은 부족하다. 그리고 헤파린 가교요법은 오히려 출혈의 위험을 높여 권고 하지 않고 있습니다. BRIDGE 연구에서 가교 요법이 출혈의 위험을 높이는 결과를 보여 주었습니다. 이를..
내시경 및 수술 환자에서 NOAC 사용 환자 대처(수술 협진환자 나 내시경 예약시) I - 출혈 위험 낮은 경우와 미약한 경우 고혈압환자의 증가로 인하여 많음 심방세동및 부정맥 환자등에서 사용되고 있는 환자에서 협진의 형태나 내시경 예약을 해야하는 상황이 많이 발생하고 있습니다. 가끔외래에서 보면 단순하게 1일 쉬고 수술 다음날 먹고 오세요 라고 하지만 이는 다소 문제가 될수도 있는 상황이 될수 있어서 좀더 자세히 기술해보도록 하겠습니다. I . 출혈 위험이 미약한경우 실제 덜 위험한 시술이라면 중지 할필요도 없는 경우가 많습니다. 발치나 조직검사 없는 내시경의 경우 백내장 녹내장 수술 등입니다. (실제 내시경은 조직검사 할지 안할지 모르기 때문에 이는 제외 하는게 좋을것같습니다. 이경우에는 전날 약을 끊을 필요없고 그냥 진행하시면 될것 같습니다. 마지막으로 NOAC 을 먹은지 12-24시간 이후 시행하면 됩니다. 즉 수술날만 ..
저널 자세히 읽기 - 대한소화기 내시경학회지 2023 8월 : 칼슘, 비타민 D와 대장암 (서론) 이번에는 많은 사람들이 관심이 많은 비타민 D와 대장암에대한 리뷰 저널입니다. 내과 선생님께서 상당히 세세히 정리되어 있어 많은 도움이 되었던 review articles입니다. reference 내용과 같이 자세히 읽어보도록 하겠습니다. 서론 대장암은 실제로 상당히 주변에서 친숙한 암일수 있습니다. 2020 global cancer statistics에서 보면 발생율은 3위 사망율은 2위에 해당되니까요 . 위험인자 * 성별 나이 인종 유전적 요인 * 비만 제2형당뇨병 음주와 흡연 * 가공육 적색육 * 장내미생물군집에서 대장 상피화 상호작용하여 암발생을 유발 분홍색은 위험을 높이는 것이고 연초록은 위험을 낮추는 내용입니다. 저널마다 약간의 차이는 있으나 비슷한것이 담배 술 및 가공육(햄 소시지)과 붉은색..